<인바디 결과지 분석 시리즈 2탄> 비만분석, 부위별근육분석, 세포외수분비분석, 신체변화, 인바디점수, 내장지방단면적을 해석해보자. by 가정의학과 전문의

안녕하세요? 엠디킴입니다.


오늘 비만 관련 포스팅에서는 <인바디 결과 시리즈 2 탄>,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2부 : 비만분석, 부위별근육분석, 세포외수분비분석, 신체변화, 인바디점수, 내장지방단면적)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인바디의 필요성

 

 

인바디 결과지 해석(2부 : 비만분석, 부위별근육분석, 세포외수분비분석, 신체변화, 인바디점수, 내장지방단면적)

 

1) 비만분석 (Obesity Index Analysis)

인바디 비만분석

본인의 체형, 비만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체중과 신장을 이용한 BMI로는 정확한 비만 진단을 할 수 없고 보다 의미 있는 비만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BMI와 체지방률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2) 부위별 근육분석 (Segmental Lean Analysis)

부위별 근육분석

부위별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 다리, 왼 다리) 그래프의 길이를 비교하여 각 부위의 근육이 균형 있게 발달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근육의 발달 정도나 상하좌우 균형을 알 수 있기에 운동 치료의 판단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골절, 염좌, 관절염, 마비 등으로 좌우 불균형이 나타났을 경우 치료 전후 판정 등에 사용됩니다.

체중별 근육분포

두 줄 그래프의 길이가 동일하면 균형이 잡힌 체형이지만, 상하 막대 그래프의 길이가 균형이어도 표준 이하에 속하면 근육량이 부족한 것을 의미하므로 표준에 속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합니다.

 

3) 세포외수분비분석 (ECW Ratio Analysis)

세포외수분비분석

– 세포내수분량 (ICW; Intracellular Water) : 세포내액 (ICF; Imtracellular Fluid)의 약 80%를 차지하며 세포막 안에 존재하는 수분을 의미합니다.

– 세포외수분량 (ECW; Extracellular Water) : 세포외액 (ECF; Extracellular Fluid)의 약 98%를 차지하며 혈액이나 간질액에 존재하는 수분을 의미합니다.

 

​건강인의 경우 세포내수분과 세포외수분의 비가 3:2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총 체수분 (TBW)에 대한 세포외수분량 (ECW)의 비율은 대부분 0.380 전후로 나타납니다.

부종은 세포외수분량 (주로, 간질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체수분의 균형이 무너진 상태를 의미하며,

세포외수분량을 증가 시키는 원인으로는 신장질환, 심장질환, 간질환, 부종, 영양상태의 악화, 부상이나 화상 등이 있습니다. 인바디에서는 ECW/TBW가 0.400 이상일 경우 부종으로 평가합니다.

 

4) 신체변화 (Body Composition History)

신체변화

ID 를 입력하여 측정하면 개인 별 가장 최근 데이터를 기준으로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률, 세포외수분비 4가지 항목의 변화를 누적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8회분까지)

 

5) 인바디점수 (InBody Score)

인바디 점수

검사자의 현재 체성분 상태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점수화한 인바디만의 고유 지수입니다.

표준 범위는 70~90점이며 80점을 기준으로 조절해야 하는 근육량과 지방량 +/- 1kg에 따라 +/-1점씩 변화합니다.

즉, 근육량이 기준보다 1kg 많을 경우 인바디점수는 1점 증가합니다.

점수가 높을 경우에는 근육량이 많고 체지방이 표준값에 가까움을 의미하고, 점수가 낮을 경우에는 근육과 지방의 균형이 좋지 않은 상태임을 의미합니다.

*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세포외수분비가 0.400 이상일 경우 인바디 점수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점수별 해설
점수별 해설

 

6) 내장지방단면적 (Visceral Fat Area)

내장지방단면적
내장지방단면적

 

우리 몸의 체지방은 그 분포 위치에 따라 내장지방, 피하지방, 근육 사이의 지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중 내장지방이란 내장 사이사이에 분포하여 복부 비만을 일으키는 지방으로 배꼽 주변의 내장지방단면적을 의미하며 CT와 같은 방사선 검사를 통해 직접 계산하는 방법이 Gold Standard입니다.

그래프의 어두운 부분은 연령에 따른 내장지방단면적의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내장지방단면적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100 이상일 경우 내장비만으로 판정합니다.

검사자의 위치는 +로 표시되고 같은 연령대별 분포를 통해 연령대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 2 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서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 3 탄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인바디 관련 다른 글 참고 하실 분 아래 클릭해주세요.

<인바디 결과 시리즈 1탄>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을 알아보자. (체성분 분석, 골격근지방 분석) by 가정의학과 전문의
<인바디 결과 시리즈 2탄>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을 알아보자. (비만분석, 부위별근육분석, 세포외수분비분석, 신체변화, 인바디점수, 내장지방단면적) by 가정의학과 전문의
<인바디 결과 시리즈 3탄>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을 알아보자. (체중조절, 영양평가, 신체균형평가, 부위별체지방분석, 연구항목, 위상각, 임피던스) by 가정의학과 전문의

 

건강하고 올바른 다이어트, 엠디킴이 함께하겠습니다.

다이어트에 관한 다양한 질문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엠디킴 올림.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