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바디 결과지 분석 시리즈 3탄> 체중조절, 영양평가, 신체균형평가, 부위별체지방분석, 연구항목, 위상각, 임피던스를 해석해보자. by 가정의학과 전문의

안녕하세요? 엠디킴입니다.

 

오늘 비만 관련 포스팅에서는 <인바디 결과 시리즈 3 탄>,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3부 : 체중 조절, 영양 평가, 신체 균형 평가, 부위별 체지방분석, 연구 항목, 위상각, 임피던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인바디의 필요성

 

인바디 결과지 해석 (3부 : 체중 조절, 영양 평가, 신체 균형 평가, 부위별 체지방 분석, 연구 항목, 위상각, 임피던스)

1) 체중 조절 (Weight Control)

체중조절
​- 적정 체중은 검사자의 체성분을 고려하여 근육량과 체지방량이 이상치가 되었을 때의 체중을 의미합니다.

– 예를 들어, 근육량이 많은 과체중의 경우 근육을 줄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적정 체중은 표준 체중 (= 표준 BMI로 계산)보다 높게 표시됩니다.

2) 영양 평가 (Nutrition Evaluation)

영양평가
– 단백질 : 단백질은 표준값의 90% 미만일 경우 부족으로 체크 됩니다. 저체중에서 자주 나타나며 근육 부족이나 영양 상태가 좋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 무기질 : 무기질량은 표준값의 90% 미만일 경우 부족으로 체크 됩니다. 부족의 경우 관절염, 골절, 골다공증 등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 체지방량 : 체지방량은 근육과의 상호 비교에 의해 부족, 양호, 과다에 체크됩니다. 표준 체지방량의 160% 이상이면 과다, 80% 미만이면 부족, 그 사이에는 양호로 평가됩니다.

3) 신체 균형 평가 (Body Balance Evaluation)

신체균형평가
– 상체 좌우 : 양팔의 근육량 차이가 6% 이상을 약한 불균형, 10% 이상을 심한 불균형으로 평가합니다.

– 하체 좌우 : 양다리의 근육량 차이가 3% 이상을 약한 불균형, 5% 이상을 심한 불균형으로 평가합니다.

부위별 근육분석
– 상체 하체 : 양팔과 양다리의 그래프 길이 차이가 1 칸 이상을 약한 불균형, 2 칸 이상을 심한 불균형으로 평가합니다.

4) 부위별 체지방 분석 (Segmental Fat Analysis)

부위별체지방분석
– 좌측의 수치 : 괄호 안의 수치는 실체 체지방량 (kg)을 의미합니다.

– 우측의 수치, 그래프 : 우측의 수치는 각 부위 별 체지방량을 표준값과 비교한 백분율 (%) 의미합니다.

– 표준 체중일 때 가지고 있어야 하는 체지방량과 비교한 평가로 표준 범위는 80~160%입니다.

– 신체 어느 부위에 체지방량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운동 치료 및 식사 지도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5) 연구항목 (Research Parameter)

연구항목
– 세포내수분 (ICW; Intracellular Water) : 세포내액 (ICF; Intracellular Fluid)의 약 80%를 차지하며 세포막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의미합니다.

– 세포외수분 (ECW; Extracellular Water) : 세포외액 (ECF; Extracellular Fluid)의 약 98%를 차지하며 혈액이나 간질액에 존재하는 수분을 의미합니다.

– 기초대사량 (REE; Resting Energy Expenditure)​ : 호흡이나 심장 박동 등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 복부지방률 (WHR; Waist Hip Ratio) : 허리 둘레 (배꼽 둘레)를 엉덩이 둘레 (둔부 가장 돌출된 부위)로 나눈 값으로 복부 비만 여부를 판정합니다. 남성의 경우 0.90 이상, 여성의 경우 0.85 이상이면 복부비만이라고 합니다.

– 내장지방레벨 (Visceral Fat Level) : 내장 안에 존재하는 내장 지방의 단면적을 레벨로 제공하며 내장 지방 단면적 10 당 1 레벨을 의미합니다.

– 비만도 (Obesity Degree) : 이상 체중에 대한 현재 체중의 비율로 신장과 체중만으로 비만 여부를 판정하는 지수입니다. 인바디에서는 브로카법으로 구하고 있으며 90~110%가 표준, 110~120%는 과체중, 120% 이상은 비만으로 평가됩니다.

– 골무기질량 (BMC; Bone Mineral Content) : 뼈에 존재하는 무기질 성분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 체세포량 (BCM; Body Cell Mass) : 골격근, 내장기관, 혈액, 뇌같은 조직의 무지방 세포 부분의 총량을 의미하며 단백질과 세포내 수분의 합으로 산출됩니다. 영양 상태, 신체 활동 정도, 질환 여부 등을 반영하는 바이오마커의 역할을 합니다.

– 상완위팔둘레 (AC; Arm Circumference) : 왼팔의 상완 위둘레로써 근육이나 체지방량에 따라 변화합니다. 상완 위팔 둘레는 근육량과 비례하며 단백질의 영양 상태를 판정할 때 이용됩니다.

– 상완위팔근육둘레 (AMC; Arm Muscle Circumference) : 왼팔의 상완 근육 둘레입니다. 상완의 근육량은 개인의 영양 상태를 가장 빠르게 반영하며, 영양학에서는 상완위팔근육둘레를 영양 판정의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보통 영양이 불량인 경우 상완위팔근육둘레 수치가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주기적인 측정을 통해 수치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SMI (Skeletal Muscle Index) : 골격 근량 지수는 근감소증 진단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위상각 (Whole Body and Segmental Phase Angle)

위상각
– 위상각은 세포막에 걸리는 저항을 각도로 표현한 것으로 세포의 건강도를 나타낸 항목입니다.

– 위상각이 낮을수록 세포의 건강 상태 및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영양 불량과 함께 체중 감소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여 소모성 질환자 (예를 들어, 암 환자)의 영양 상태 판정 및 생존 가능성의 예측에도 활용되는 지표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참고치 4도 이상 : 정상, 2~4도 : 연령에 따라 해석, 2도 이하 : 심각

 

7) 임피던스 (Impedence)

임피던스
– 임피던스는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교류 전류가 체수분을 따라 흐를 때 발생하는 전기 저항으로 모든 체수분 결과의 기본이 되는 수치입니다.

– 인바디 측정이 정상적으로 측정 되었을 경우 임피던스 값은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갈수록 각 부위 별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 이를 통해 인바디 측정이 올바로 이루어졌는지 1차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바디 결과지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모두 알아보았습니다.

 

운동 시작하려고 하시는 분이라면 인바디 검사는 기본적으로 한 번씩 해보셨을 텐데요.

 

이번 포스팅을 통해 인바디 검사 결과지 해석하는 정확한 방법을 아셔서 건강한 다이어트 계획을 세우셨으면 좋겠습니다.

 

건강하고 올바른 다이어트, 엠디킴이 함께하겠습니다.

 

인바디 관련 이전 글 참고 하실 분은 아래 클릭해주세요.

<인바디 결과 시리즈 1탄>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을 알아보자. (체성분 분석, 골격근지방 분석) by 가정의학과 전문의

<인바디 결과 시리즈 2탄>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을 알아보자. (비만분석, 부위별근육분석, 세포외수분비분석, 신체변화, 인바디점수, 내장지방단면적) by 가정의학과 전문의

<인바디 결과 시리즈 3탄> 인바디 결과지 해석 방법을 알아보자. (체중조절, 영양평가, 신체균형평가, 부위별체지방분석, 연구항목, 위상각, 임피던스) by 가정의학과 전문의

 

다이어트에 관한 다양한 질문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엠디킴 올림.

Leave a Comment